Relay(2)
-
[RxSwift #5] Driver란 무엇일까?
일단 정말정말 오랜만에 글을 쓴다. 작년 추석 때가 마지막이었던 것 같은데.... 중간고사 기간부터 종강할 때까지 너무너무 바빴다..! 그래서 사실 Driver에 관한 글을 써야한다는 사실도 잊고있었다. 일단 마지막으로 글을 쓴게 작년이라니!! 오늘은 벌써 새해가 되었다. 신년이다. 어떻게 이럴수가!!! 간단하게 복습 일단 지난 글에서 다뤘던 것을 간단하게 복습하자면, Relay에 관한 내용을 공부했었다. Relay는 Subject를 Wrapper class로 감싼 형태로, error나 complete를 발생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렇다면 이제 이 Relay의 사용법을 알아야 한다. 왜 Wrapper 클래스로 감쌌으며, 어떤 목적을 위해,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Driver란? 먼저 Driv..
2022.01.01 -
[RxSwift #4] Subject 와 Relay
Rx를 이용해서 코딩을 하다보면 Subject와 Relay를 사용해야 할 때가 생긴다. 예를 들면 내가 다른 데이터를 관찰해서 내 정보를 업데이트해야 하고, 또 누군가가 나를 관찰해야 하는 입장이 될 때가 있다. 이럴 때 어떻게 해결을 해야 할지 고민하다가 찾은 것이 Subject와 Relay였다. Rx 관련 개념들에 대해 대충 찾아봤을 때 지나가다가 본 것들이었는데, 이것을 써야만 하는 상황이 생기다니...! 물론 아주 흔한 상황인 것 같다(ㅋㅋㅋㅋㅋ) 하지만 PublishSubject, PublishRelay, BehaviorSubject, BehaviorRelay..... 등등등 정말 많은 것들이 있었다. 어떤 것은 초깃값을 주지 않아도 객체를 생성할 수 있었고, 어떤 것은 아니었다. 이것 뿐만 아..
2021.09.22